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반복되는 '땅 꺼짐 사고'…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은?

2022-01-16 2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반복되는 '땅 꺼짐 사고'…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경기도 고양시 일산에서, 건물 아래 땅이 갑자기 꺼지면서 시민들이 급히 대피하는 일이 있었죠.<br /><br />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, 시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은 장석환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를 만나 사고 원인과 대책 짚어봅니다.<br /><br />홍현지 캐스터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입니다. 저는 지금 일산 마두역 근처 땅꺼짐 현상이 발생한 현장에 나와 있는데요. 오늘 이와 관련해서 장석환 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가장 먼저 이번 사고의 정밀 안전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일산에서는 처음 있는 일은 아니라고요?<br /><br />[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]<br /><br />여기가 바로 땅꺼짐 현상이 일어난 곳인데요. 땅꺼짐 현상 싱크홀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지하를 판다든지 상하수 관로의 노후화의 누수에 의해서 지반이 가라앉는 현상인데요. 일산에서 2015년 이후 지금 한 6번째 정도 일어나고 있거든요. 그러니까 지하철 3호선 주변으로 주로 일어나고 있고요. 거기에 보통 겨울철 지금 12월에서 2월 정도에 많이 일어나는 그런 현상들이 지금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번 사고의 원인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습니다. 근본적인 원인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?<br /><br />[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]<br /><br />잘 아시다시피 일산은 한 30년 전에 상당히 지하수가 높은 지역, 즉 한강보다 낮은 지역으로 지하수가 높아져 있고 또 이 지역은 충접층이라고 하는 연약지반 위에 건설된 건물이기도 합니다. 따라서 이 두 가지의 문제도 복합적으로 나타난 현상이기도 한데요. 이 급격한 지하수의 변동에 의해서 지하 터파기가 깊이 이루어진 이런 상태에서 재작년에 54일 장마 같은 큰비가 왔을 때의 지하수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서 상당 부분 이 지역에 싱크홀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또 일산 신도시 내에서 지반이 취약한 도로에 대해서도 전수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재발방지책 측면에서 어떤 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요.<br /><br />[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]<br /><br />지금 한 110km의 도로를 전체 GPR 탐사를 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현상을 조사하는 것이지 이것을 원인 해결을 하기 위한 부분은 조금 더 많은 부분이 필요합니다. 예를 들면 충접층이 얼마나 깊이 되어 있는지 얼마나 넓게 퍼져 있는지 또 지하에 있는 상하수도 관로가 노후화가 얼마나 되어 있는지, 과거의 지하수와 지금 현재의 지하수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분석을 해야만 앞으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런 지반 침하에 대한 위험지도를 작성을 해서 그 부분들이 도시계획이라든지 그다음에 건축물의 인허가 문제라든지 이런 것까지 연결해야 앞으로의 이런 문제가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마지막으로 광주에서 발생한 신축 아파트 붕괴사고 전문가로서 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.<br /><br />[장석환 / 대진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]<br /><br />참 안타까운 사고인데요. 보통 겨울철 같은 경우뿐만 아니고 보통 건축물에서 한 층을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타설하는 데 한 7일 정도 걸리는데 16개 층이 한꺼번에 무너졌다고 하는 것은 이건 양생 과정이라든지 콘크리트 타설의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 이런 생각이 좀 들고요. 그래서 시방서를 잘 지키지 않았는지 그거 확인을 해 봐야 될 뿐만 아니고 불법 하도급은 혹시 없었는지 장비업체가 지금 콘크리트 타설한 작업자들이 같이 했다는 그런 보도도 있고 한데 이런 부분들을 좀 철저하게 따져서 이런 부실의 원인을 밝혀내야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